목포대양산단 내 ‘폐기물 플라즈마 가스화 발전시설’ 건립 어떻게 되고 있나
상태바
목포대양산단 내 ‘폐기물 플라즈마 가스화 발전시설’ 건립 어떻게 되고 있나
  • 이효빈
  • 승인 2018.03.14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플라즈만 발전소 추진 회사 자금난 착공 지연 등 사업 불투명
▲ 목포 대양산단.

[목포시민신문=이효빈기자]목포시가 쓰레기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겠다며 역점 추진했던 ‘플라즈마가스 발전사업’이 업체와 시간의 업무협정이 해지되면서 시 쓰레기행정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사업을 추진한 업체가 자금난으로 대양산단내 착공이 늦어지면서 불똥이 목포시 쓰레기 행정의 난맥상으로 뛰고 있다.

목포시는 지난 2014년 12월 말 (주)더블유티이목포와 ‘목포시 플라즈마 신재생에너지 단지 건립 추진’을 위한 MOU(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MOA(업무협정)을 추가 체결했다.

협약과 협정의 주요 내용은 목포시에서 발생하는 생활·음식물쓰레기 등을 업체에게 공급하면 업체는 1800억 원을 대양산단에 투자 유치해 가스화발전시설을 건립해 운영하겠다는 것이었다.

플라즈마 발전시설은 각종 폐기물(생활, 음식물, 산업) 뿐만 아니라 하수슬러지까지 용광로 형태의 고로(高爐)에 넣고 최고 1만도에 가까운 열을 가해 플라즈마 상태의 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시설로서 쓰레기 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기술이다.

목포시는 이 기술을 통해 포화상태인 쓰레기매립장 문제를 해결하고 업체는 신재생에너지를 발전해 이익을 얻는다는 목적이었다.

목포시는 14년, 16년 3월 홍보자료를 통해 올해 가장 역점사업으로 추구하는 환경정책에 대한 질문에 “2014년 11월 (주)더블유티이목포에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플라즈마 가스화발전시설 건립 제안서를 제출해 검토했다”며 “연간 폐기물 처리비용(연간 76억원)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소각시설보다 친환경적이고 기술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해 폐기물처리시설 운영비용과 위생매립장 사용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했다”고 밝힌바 있다.

시는 그동안 매일 수거한 1일 약 272톤의 폐기물 대부분을 직접 처리하고 있으나 음식물류 폐기물은 처리시설의 용량 부족으로 1일 평균 약 25톤을 민간이 설치·운영하는 시설에서 위탁해 처리하고 있다.

기존 시설도 노후돼 새로 설치해야 하는 상태이며, 지난 1995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위생매립장도 사용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대체 매립지 조성부지도 없어 매립량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실정에 직면한 시는 폐기물 처리 대책을 모색해왔다.

그러다 (주)더블유티이목포로부터 폐기물 플라즈마 가스화 발전시설 건립 업무협의를 제안 받아 지난 2014년 12월 29일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데 이어 업무협정(MOA)까지 맺게 됐지만 발전시설 건립실패로 인한 협정해지로 인해 시 쓰레기 정책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플라즈마 발전시설 착공이 늦어지면서 계속된 언론과 시민들의 지적에도 문제없다며 ‘플라즈마 쓰레기 사업’ 홍보를 밀어붙였던 목포시는 행정력 낭비 비난과 함께 입장이 창피하게 됐다.

시와 업체가 체결한 협정 건으로 인해 2016년 시 환경과 직원들과 혈세로 일본 해외연수를 갔던 목포시의회 관광경제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조성오 시의장도 예산낭비지적에 피할 수 없게 됐다.

지금껏 목포시가 플라즈마 발전시설 유치에 힘을 쏟은 이유는 발전소가 준공될 경우 서남권과 광주권까지 쓰레기를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목포에 들어서 200여명의 인력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하지만 발전소 추진 업체가 자금난으로 착공이 지연되면서 결과적으로 목포시의 계획이 어렵게 되고 그동안 행정력 지원이 특혜의혹으로 비춰지고 있어 곤혹스러운 모습이다.

업체 또한, 4년의 시간에도 불구하고 '폐기물 플라즈마 가스화 발전시설' 건립 및 플라즈마 기술 실현을 이유로 시와 협약 및 협정을 맺었지만 실제로는 플라즈마 기술 실현이 불가하기 때문에 자금 조달에 실패한 것 아니냐는 의문도 일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해 목포시의회 여인두 의원은 “목포이미지부터 시작해서 환경정책으로 대안을 제시했던 플라즈마 기술에 관한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했다”며 “그러나 목포시는 밀고 갔다. 결과적으로 은행 PF가 안돼 업체와 계약 해지되지 않았나”라며 말했다.

한편, 업체는 시설 건립을 위해 목포대양일반산업단지 내 33,511㎡(약 1만여평)를 89억여원에 매입계약하고 분양대금의 10%인 9억여원을 납부했지만 남은 중도금 53억원을 미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효빈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