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형 도시재생 해법 찾기 ①
상태바
목포형 도시재생 해법 찾기 ①
  • 김영준
  • 승인 2018.10.08 1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에 필요한’ ‘주민이 원하는’ ‘살고 싶은’도시에서 해법 찾자

[목포시민신문=김영준기자]목포지역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닻을 올렸다. 만호동 일대 29만㎡에 '1897개항문화거리'와 서산동 10만㎡에 ‘바다를 품은 행복마을만들기’ 등 목포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추진 중이다. 이에 앞서 목원동 일대 재생사업도 지난 4년간 진행됐었다. 이제 시민들에게 '재생'이라는 화두는 새삼스럽지 않다. 하지만 ‘목포 재생’이 무얼하는 것인지, 이 사업은 어떻게 하고 어디를 향해 나가야하는 것인지를 답해주는 사람은 많지 않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이 쇠락한 목포의 생명력을 살릴 수 있는 지렛대가 될 수 있는지 여부는 이제 목포의 몫이다. 목포다운 추진동력을 서둘러 찾아야 하는 과제가 남겨졌다. <편집자 주>

① 도시재생, ‘지역력’에 달렸다

② '현장'에 주목하는 ‘재생 서울’
③ 문화·관광·도시재생 협업 실험
④ 전담조직의 힘… 도시재생 선도
⑤ 일본 가나자와시, 재생의 답을 찾자

재개발 아닌 도시재생… 지역 고유 회복력 주목 
복제·획일화 등 문제… ‘주민 역량’ 핵심 키워드

“도시재생이라는 의미를 제대로 짚어야 한다. 어디에 뭔가가 새로 생겼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역이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이 관건이다”
이용규 제주대 공과대학 건축학부 부교수는 도시재생을 이 같이 설명했다.


이 교수는 모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도시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역이 가지고 있는 요소들을 제대로 알고 유기적으로 활용할 능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예를 들어 도마뱀의 꼬리가 잘렸을 때 절단 부위가 제대로 재생될 수 있도록 환경 등을 갖춰줄 것인지 아니면 전혀 다른 소재의 것으로 꼬리를 만들어 붙여줄 것인지 선택하는 문제와 비슷하다.


이 교수는 특히 “성과를 목적으로 한 구조로는 어떤 좋은 사례를 가져와도 성공할 수 없다”며 “지역에서 필요를 발굴하고 원하는 결과를 위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도시재생’”이라고 정리했다.

새정부 출범 이후, 목포에서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은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다. 그 이전에도 낙후된 지역을 개발해 살리겠다는 구상은 늘 있어왔다.

'재생'이란 용어의 해석에 있어 재개발·개건축 측면의 접근은 이미 수차례 실패를 학습했다. 도시가 원래 가지고 있는 회복력과 지역 고유성, 다양성을 살려야 재개발·재건축이라는 함정을 피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지역 차원에서 '도시재생'의 함의를 분명히 하고 동력을 만들 것을 주문한다. 다른 사업들처럼 지역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새로운 장치를 만들거나 낡은 것을 아예 새것으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쓸모를 부여하는 것으로 '지역 스스로 발전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는 지역력'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골목길 경제학자인 모종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유현준 홍익대 건축학과 교수의 접근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모 교수는 '듀플리케이션'을, 유 교수는 '속도'를 경계한다. 표현이 다를 뿐 같은 말이다. 도시재생 차원에서 접근할 때 충분히 수긍이 간다.

모 교수는 대량생산 대량소비,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기술근본주의의 늪에 빠져 있는 현실에서 획일적 도시모델을 강요하는 듀플리케이션(Duplication, 복제화)는 쇠퇴를 가속화할 수 있음을 경계한다. 획일화되지 않은 개성, 삶의 질, 다양성 같은 요소들이 사람을 끌 수 있음을 강조한다.

유 교수도 도시화로 양산된 기형적인 자동차 도로 확장이 도시의 생명력을 약하게 하고 있다고 꼬집는다. 이벤트지수라 칭하는 ‘걷고 싶은 거리론’이다. 보기 좋은 거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이벤트가 일어나고 어떤 것을 볼 수 있는지, 어떤 자연환경이 있는지에 따라 사람이 모인다고 말한다.

지역의 힘을 확인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치인 '사람'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끌어들여야 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인구 성장세가 둔화된 상황에서 인구를 빼앗기는 지역은 쇠퇴할 수밖에 없는 '제로섬 게임'을 도시재생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런 측면에서 전문가들은 도시재생은 융·복합 사업이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건축뿐만 아니라, 주민 삶을 만족시키기 위한 각종 문화·복지 시설 확충, 사회적 기업 육성, 안전을 위한 범죄예방 설계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도시재생'은 특정한 지역을 발전시키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적어도 지역에 맞는 방법을 주민들이 스스로 찾고, 적당한 지원과 관심으로 뿌리를 내려 딛고 설 기반과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란 점이다. 지역이 얼마나 이를 이해하고 재생사업에 반영하는가가 성패를 좌우한다.
김영준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