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없는 지역은 망한다
상태바
청년 없는 지역은 망한다
  • 이효빈
  • 승인 2019.07.10 1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목포시도 감소로 소멸지역되가고 있어

청년의 대도시 유출이 예사 일이 아니다. 전남지역에 연고를 둔 청년이 광주와 서울 등 대도시로 떠나가는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전남도청이 무안 남악으로 이전해온지 10년이 넘어가고 있지만 목포로의 인구 유입은 안되고 인구감소가 더욱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한 분석을 광주전남발전연구원에서 내놨다. 지난해만 도내출신 6만여 명 이상의 청년이 광주와 서울 등 대도시로 이적하였다.

과거 전남의 뿌리였던 광주으로의 이동이 3할 이상을 점유하고, 같은 광역단체내인 목포, 여수, 순천으로의 유입도 10% 남짓한 통계가 잡혔다. 재정 등 상대적으로 열악한 여건에 있는 군 단위 자치단체의 청년유출이 눈에 띄게 늘고 있는 것이다. 도시로의 이동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이다. 여러 가지 까닭이 있겠지만 일자리, 즉 직업선택의 따름이 주류를 이룬다. 그 외에 교육과 주거환경에 기인한 현상도 나타난다. 이러한 원인과 결과가 발견됐다면 해결방안과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꾸물 댈 일이 아니다.

과거 목포에는 신안, 진도, 완도 등 섬지역 거주 청년들이 이주하면서 활력을 찾았다. 하지만 이들 섬 지역이 낙후되면서 더 이상 목포로 이주할 인구가 없어지면서 목포도 인구 감소를 겪고 있다. 특히 인근 영암, 해남, 무안, 장흥, 강진 등 지역은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다양한 인구 증대 시책을 발굴해 시행하고 있다. 다자녀 가구 지원에서부터 출산 장려금 지원등 정책을 시행하면서 인구 유출을 막고 있다.

인근 시군의 인구 유출 방비 대책이 촘촘히 마련되면서 목포는 자생적 도시 기반구조를 가지지 못한 상황에서 인구 정체를 지나 감소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목포시는 이런 위기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인구 증가 대책은 타 시군에서 하는 정책을 베껴 그대로 시행하기에 바쁘고 목포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는 시책들 뿐이란 지적을 받고 있다.

생산의 주축을 이루는 20-30대 청년이 없으면 생활환경의 활력을 상실하게 된다. 인구생성의 기반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인구정책의 치명상을 안기는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이 명약관화하게 된다. 일자리는 줄게 되고 생산의 퇴화를 가져온다. 주택과 교통 등 도시 인프라가 위축되는 악순환을 맞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자녀양육 및 보육시스템의 구멍이 들게 되고 종국적으로는 생활의 불편과 활동의 파국을 불가피하게 만든다.

청년이 안주하고 편안한 직업을 갖도록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먼저 기초행정을 맡은 지방자치단체의 몫이다. 이전과 다른 처절한 경각심이 요구된다. 경제적 활력을 도모하여 부를 창출하고, 생활환경이 개선되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평안한 결혼생활을 영위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 자녀를 생산하여 교육할 수 있는 풍요로운 여건 조성이 긴요하다. 다출산 청년세대를 창출하는 선순환을 일구는 것이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 지역은 망한다. 행정청의 유지도 불가능하게 된다는 절실한 의지를 가져야 한다. 수당 등과 같은 돈으로 메꾸는 일시적이거나 단발적 대증(對症)처방보다는 취업인프라를 구축하고 정주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이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독립적 경제기반이 빈약하고 인근 지역에 기생해 온 목포시는 인근 시군과 행정적 협력과 상생할 수 있는 시책을 발굴해야한다. 인근 지역과 행정적 통합을 20년째 외치고 있지만 아직도 이렇다할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목포시가 나서 인근 지역과 행정통합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위기를 돌파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모든 시민이 동의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