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과 연안도시의 위기
상태바
해수면 상승과 연안도시의 위기
  • 목포시민신문
  • 승인 2019.10.23 16: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선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목포시민신문] 올해 9월에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하여 수도를 현재의 자카르타에서 보르네오섬 동칼리만탄주(East Kalimantan)로 이전하겠다는 성명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면서 가장 이상적인 위치로서 동칼리만탄의 북프나잠 파세르군(North Penajam Paser Utara)과 쿠타이 카르타느가라(Kutai Kartanegara)군을 거명하였다. 수도 이전은 이미 1957년 수카르노 초대 대통령 시절부터 정부의 숙원사업이었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무산되었다고 한다. 자카르타는 동인도회사로 인도네시아를 지배하였던 네덜란드 식민지의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하여 수카르노 대통령은 수도 이전을 계획했다고 한다. 필자는 동칼리만탄주(East Kalimantan)의 섬 조사를 위하여 이 지역을 통과한 적이 있다. 아마도 발리파판(Balikpapan)과 사마린다(Samarinda) 두 도시 주변이 새로운 수도의 핵심지가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사마린다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식민지배를 겪으며 석탄 생산의 중심지로 개발되면서 탄광산업이 확산되어 왔다. 내륙에서 채굴된 석탄이 마하캄 강(Mahakam River)을 통하여 바다로 유통하는 델타 시티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동칼리만탄 사마린다시를 관통하는 마하캄 강. (2017.5, 홍선기 촬영)
동칼리만탄 사마린다시를 관통하는 마하캄 강. (2017.5, 홍선기 촬영)

자카르타시가 수도 이전을 고민한 원인은 앞서 식민지 청산도 있었겠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침수 위험이다. 자카르타시 외곽이 확장되면서 무분별한 도시개발에 의한 지하수 부족과 고층 건물 건설로 인하여 매년 7cm씩 지반이 침식하고 있으며, 현재 자카르타 전체 면적의 40%가 해수면보다 낮아졌다고 한다. 이런 상황이면, 도시 전체가 수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할 수 있다. 작년 9월에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제 28IPCC(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총회에서 지구온난화 1.5특별보고서’(Special Report on Global Warming of 1.5°C)가 발표되었고, 참석한 195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최종 승인되었다. 지구온난화 영향 중 심각한 것이 해수면 상승이다. IPCC에서 보고한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은 2.0인데, 그러나, 최근 NASA의 보고에 의하면 3.3라고 경고하면서 2100년까지 해수면이 75~190까지 상승할 것으로 경고하였다. 이러한 해수면 상승은 국가나 지역별로 일정하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6년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률이 평균 2.68이며, 포항 인근 해역은 5.98, 제주 해역은 5.63로서 세계평균의 최대 3배를 나타내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위급한 곳은 태평양의 섬 뿐 아니라 대도시도 포함된다. 1m 상승시에 침몰되는 곳으로 몰디브, 키리바시, 투발루 같은 섬 국가는 물론, 뉴욕, 암스테르담과 로테르담, 베니스 등이 거론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미국의 루이지애나주 저지대가 빠르게 침식하고 있으며 습지의 30%가 지도상에서 사라졌다고 한다. 2011년 연방정부는 바닷속에 잠겨버린 루이지애나주의 35개 섬, 연못, 습지, 만의 이름을 삭제했다.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 자료: 국립해양조사원(2010).
우리나라 연안의 해수면 상승률. 자료: 국립해양조사원(2010).

국립해양조사원(2010) 보고서에 의하면, 목포(1.3)는 제주(5.98)에 비하여 해수면 상승률이 5분의 1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근 해역의 수심, 연안의 지반과 지형에 따라 해수면 상승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의 빈도와 위력이 날로 강해지고 있고, 그 향방도 과거와는 다르게 예측할 수 없는 상태이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대응은 국가적 수준 보다는 지역 수준에서 철저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목포를 비롯하여 부산, 인천 등 항구도시 대부분은 매립지로 되어 있다. 과연 해수면 상승이나 태풍, 해일과 같은 긴급한 기후 위기 상황에 시민들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을지 이젠 심각하게 고민할 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