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녹색돌풍' 의미
상태바
호남 '녹색돌풍' 의미
  • 류용철
  • 승인 2016.04.19 0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호남 '현역 의원 교체'보다 '정당 교체' 선택
▲ 목포선거구에서 당선된 박지원 후보와 무안 영암 신안 선거구에서 당선된 박준영 후보가 남악신도시 김대중 광장 김대중 동상 앞에서 만세를 부르고 있다.

호남=국민의당ㆍ수도권=더민주…분할로 여당 과반 막아
국민의당 캐스팅보트 역할…향후 정국운영에 큰 영향력

[목포시민신문=유용철기자] 20대 총선에서 광주전남 지역민의 선택은 '균형'과 '견제'를 통한 '야권 재편'이었다.

10시30분 현재 선거결과(일부 지역 출구 조사 결과 참조)를 보면 광주는 8석 중 전석(1석 경합)을, 전남은 10석 중 8석을 국민의당이 가져갔다. 그야말로 싹쓸이였다.

더민주는 선거 막판에 광주를 두번이나 방문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정계은퇴'라는 초강수를 쓰며 민심을 돌리려 했으나 결과는 처참했다. 광주는 전무하고 광주전남을 통틀어 1석만을 차지하는 성적표를 손에 쥐었다.

지역민들은 '강한 야당'보다는 '대안 야당'의 손을 들어 준 것이다. 아울러 이번 투표를 통해 광주전남은 대선주자 1위인 문 전 대표에 대한 냉정한 평가까지 내렸다. 이번 지역민의 선택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미가 부여될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더민주에 대한 반감만으로 16석을 국민의당에게 내줬다기엔 그 범위가 너무 크기 때문이다.
지역민들 상당수가 대선을 앞두고 야권이 통합될 것을 예측한 만큼 이번 투표를 통해 정권교체를 위해 국민의당으로 야권 체질 개선을 꾀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광주 지역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이 실시한 현역 의원 교체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응답자 64.0%가 '국회의원이 교체되길 바란다'라고 답한 것이 비하면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 것이다.
광주의 경우 현역의원 교체비율은 지난 16대는 6명 중 4명(66.7%), 17대는 8명 중 6명(66.7%), 18대는 7명 중 5명(71.4%), 19대는 8명 중 4명(50%)이었다.

이번에는 8명 중 3명만이 교체돼 37.5%로 역대 가장 낮은 수치다.
지역민들은 현역 의원 교체보다는 정당 교체에 더 방점을 둔 것이다.

이는 하나의 큰 야당이었던 새정치연합이 내분으로 인해 갈라지는 것을 경험한 지역민들이 역설적으로 제3당이라는 분열을 통해 야권의 견제와 협동을 바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호남의 기류는 수도권 지역의 야권 지지자들을 결집 시키는데도 크게 일조했다.
수도권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에서 호남과 달리 더민주 후보에 대한 집중 지지를 보냈다.

호남에서 더민주가 선택 받지 못한데 이어 수도권까지 새누리당에 내준다면 정권교체가 요원하다는 위기감이 수도권 압승으로 연결 된 것이다. 여기에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여당 성향의 부동층을 국민의당이 일부 흡수 한 것도 야권 승리의 단초가 됐다.

결국, 호남=국민의당, 수도권=더민주라는 야권의 분열이 여당인 새누리당의 과반수 진입을 좌초 시켰다는 점에서 이번 총선은 결과적으로 '야권의 승리'라고 말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지역민의 선택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더민주가 막판에 제기한 '호남고립론'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광주와 전남이 당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국민의당의 경우 거대 여와 야에 제 목소리를 못내거나, 안철수 대표의 대선 욕심으로 인해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역정가에서는 그럴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민의당이 40명이 안되는 중형 야당이지만, 여와 야 양쪽의 캐스팅보트를 쥔 상태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결코 작지 않다.

여기에 더민주로서는 대선 승리를 위해 호남의 지지가 절실하기에 호남을 포기할 수 없다.
여당인 새누리당도 국정을 운영하려면 국민의당의 힘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호남 고립론이 현실화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