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학교! 그 쓸쓸함에 대하여 - 구 신 서 ( 전 전남도교육청 정책연구소 소장)
상태바
섬 학교! 그 쓸쓸함에 대하여 - 구 신 서 ( 전 전남도교육청 정책연구소 소장)
  • 목포시민신문
  • 승인 2019.06.19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신서 칼럼의 구신서.

금년 8월8일은 국가가 지정한 ‘제1회 섬의 날’이다. 작년 2월28일 민주평화당 박지원 의원이 대표 발의한 도서(島嶼)개발촉진법 개정안이 3월20일 국회를 통과하면서 ‘섬의 날’이 국가기념일로 최종 확정됐다. 세계 최초로 지정 된 ‘섬의 날’이다. 이날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섬의 가치를 재발견해 섬을 국가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섬의 날’ 지정은 섬 수도인 전라남도 입장에서는 반가운 일이고 새로운 전기를 맞을 계기가 될 것이다. 섬의 날 제1회 기념행사 개최 장소가 목포, 신안으로 확정되었다. 이 지역에서 국가 기념행사, 학술대회, 특산물 전시회, 바다 축제, 페스티발 등 다양한 행사나 사업계획들이 구상되고 진행되고 있다. 이 소중한 일들이 섬에서 낳고 생활한 현지인이나 미래의 동력인 학생들을 고려하지 않고 교수나 연구자, 지자체 중심으로 이루어질 우려가 커 보인다. 21세기가 섬과 해양의 시대라면 가장 먼저 섬에 사는 사람들의 미래 희망인 교육에 대해서 깊은 고민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전남 섬 지역, 301개의 학교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남 섬은 2천 165개(전국의 65%)이다. 그리고 전국 절 반 가량 6천743㎞의 긴 해안선, 전국 최대·양질의 갯벌자원(전국 44%, 세계 5대 갯벌)을 보유하고 있다. 전남 섬 중 유인도는 276개 (전국의 57%)인데 유인도에 약 8만여 가구와 20만여 명이 정주하고 있다. 유인도는 신안 72개, 완도55개, 여수 49개, 진도45개, 고흥21개를 비롯해 장흥, 강진 각1개 까지 전남 22개 지방자치 단체 중 14개 시군에 해당된다. 여수, 고흥을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유인도는 신안, 완도, 진도에 분포되어 있다. 사람이 살면 학생이 있고 학교가 있다. 전남 섬학교는 유인도 276개중 200개 섬에 총 301개의 학교시설(본교, 분교)이 존재한다. 초등학교는 136개 섬에 222개, 중학교는 45개 섬에 56개, 고등학교는 19개 섬에 23개의 학교가 있다.

그 쓸쓸한 섬 학교에 희망과 생기를

전남은 2013년 이후 데드크로스(사망자수가 신생아수 보다 많은 현상)가 진행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남지역 시군 중 65세 인구비중이 30%를 상회한 지역이 상당수이고, 당연하게도 신안, 완도, 진도는 30%를 넘고 있다. 인구가 감소하는 섬 학교는 옛날 북적거리고 시끄럽던 풍경에서 고즈넉해지고 전교생이 남녀를 다 모아도 축구경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작아지고 있다. 섬 지역 학교가 작아지고 있다고 해서 섬 지역 학생들의 교육을 포기할 수 없다. 1명의 학생이라도 있으면 학교는 존재해야하고 교사는 부임되어야 한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육 예산 합리화 정책을 내세우면서 일정 학생수 이하인 섬 지역 학교를 통폐합했다. 이런 정책으로 섬 지역 학생들은 가족과 떨어져 육지에 유학하고 관계기관은 하숙비 지원 등 대책을 수립했지만 누구나 교육을 받을 권리의 교육정책에는 어긋나는 일이다. 안전한 통학버스를 야간 방과 후 운영, 점심 뿐만 아니라 석식까지 무상급식, 섬 근무 교사 우대강화와 정주환경 개선,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획기적 교육비 지원, 섬과 도시의 교환 수업운영, 대학생 멘토링 운영, 질 좋은 문화프로그램 찾아가는 공연 등 많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갈수록 인구 감소로 학생수가 줄어드는 섬 지역의 명확한 교육정책은 아니다. 섬 지역만의 특화된 교육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관계 기관과 책임 있는 분 들게 드리는 두 가지 제안

먼저, 섬 지역별 초중통합학교 운영을 제안한다. 폐교 원인으로 고령화, 인구 감소와 저 출산 영향으로 초등학교 분교화, 분교의 폐교, 중학교 폐교의 악순환이 지목된다. 악순환의 고착화는 섬 지역 전체에 학교가 없어지도록 가속화할 소지가 있다. 섬에 학교가 없어지면 교육 때문에 떠나기도 하지만, 기회가 생겨 섬에 다시 돌아와 정주하고 싶은 사람들이 교육문제 때문에 다시 올 수 없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섬별 초중통합학교 운영은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다. 통합 운영은 교육적 효과가 훨씬 크다는 연구 보고도 많고, 현재 우리나라와 비슷한 상황에 있는 일본을 비롯해 몇 나라에서 진행하고 있다.
둘째, 섬 학교에 대한 획기적 교육지원비 투입을 제안한다. 많은 논의와 고민을 통해서 교육지원을 하겠지만 필자는 백화점식 교육정책 방식보다는 핵심 사업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섬 학생들을 위한 화상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해 왔으나 교육콘텐츠의 부실이 학생들의 교육관심을 떨어트렸다. 초중학교에 교육지원 강사를 더 보내고 시스템을 현대적으로 보완하여 운영하고, 섬 고등학교에 있어서도 강남학원의 직강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한다면 오히려 교육을 위해 떠났단 학생들이 섬 학교로 전학하는 학생들이 늘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 본다.

 

학교가 없어진다는 것은 섬이 무인화 되는 과정이며 국토 균형발전이란 정책에도 맞지 않다. 이제부터라도 섬 교육을 단수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의 문제가 아닌 국토의 효율적 이용이란 측면에서 국가가 나서고 전라남도와 도교육청차원에서, 시군 지자체와 협력하여 근본적인 대안을 찾기를 희망한다. 할 일을 찾고 그 일을 시작하면 섬 학교는 생기를 찾고, 미래의 시대인 ‘섬의 시대’를 이끌 주역들을 길러 낼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