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키 워드 ’대통합‘
상태바
2013년 키 워드 ’대통합‘
  • 목포시민신문
  • 승인 2013.01.07 11: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 기 영 세한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평생교육원장
▲ 정기영 세한대교수

새해 호남민 아니 전국민의 최대 관심사는 ‘대통합’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도 물론 예외는 아니다. 대통령 취임이 다가오면서 이젠 ‘대통합’은 가장 중요한 실천과제가 된 느낌이다. 우선, 대통령으로 취임할 분이 ‘대통합’을 강조한 것은 역으로 지금까지 대한민국은 ‘통합’ 되지 않은 상태였음을 반증한다. 인수위 출범과 동시에 국민대통합위원회와 청년특별위원회라는 2개의 조직을 만든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대선 결과에서 드러난 지역과 세대 갈등을 치유하자는 의미인 게다. 

최근 우리 사회는 역사적으로 보기 드문 사회적 위기와 불안을 맞이하고 있다. 극단의 2개의 목소리가 각자의 길을 가고 있는 듯 보인다. 이념적으로는 보이는 보수라는 목소리와 중도 및 진보라는 목소리가 대선을 매개로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극소수의 부유층과 무너진 중산층이 대립하고 재벌그룹과 골목 및 재래상인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를 우리는 ‘경제적 양극화’라 표현하기도 한다.

지역적으로는 뿌리 깊은 호남과 영남이, 연령적으로는 50대 이상과 40대 이하 세대가 갈등을 표현하고 있다. 또 수도권과 비수도권도 “선택과 집중인가“, 아니면 ”국토의 균형발전“인가 라는 아젠다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유력한 두 후보 지지자들은 세대·계층·지역·이념으로 뚜렷하게 갈렸다. 대한민국이 두 정파(政派)가 대표하는 두 나라로 쫙 갈린 것이다. 

한 나라의 운영 요소는 국가적 권력을 행사하는 인력과 재화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인력과 재화가 세대·계층·지역·이념에 따라  편중된다면 심각한 국가적 불균형을 초래한다. 하지만 1948년 정부 수립 이래 대한민국의 지난 65년 대부분이 불균형 속에서 성장했고, 불행하게 늘 호남은 피해자였다. ‘경제적 양극화’, 지역간 양극화‘, 심지어 ’세대간 양극화‘, ’정치권 분열‘의 피해자이자 늘 약자였고 목포시민은 이러한 약자의 대표선수였다. 대한민국의 대표 농도(農道)로서 겪은 농촌사회의 붕괴, 높은 노인인구 비율, 산업화의 더딘 진행, 인사 소외, 이번 선거에서 정권교체를 통해 이러한 불균형을 치유해 보려던 호남민의 자존심은 이제 멍들만큼 멍들었다. ’대통합‘이 필요한 이유이다. 

그런데 통합은 약자에게 인내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강자에게 양보를 요구해야 이뤄질 수 있다. 나눔과 상생을 필요로 한다.  어느 한 특정집단이나 가치를 중심으로 모든 국민이 뭉치는 것을 통합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면 잘못된 것이다. 그건 통합이 아니라 동원이다. 유신체제가 그랬다. 분열된 국민을 통합하려면 선거에서 승리를 쟁취한 것보다 더 결연한 각오와 행동이 필요하다. 국민 통합이 먼저 실현돼야 자신의 정책도 실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새 대통령은 먼저 국민 대단합과 대탕평에 자신 이상으로 결연한 의지와 실천력을 가진 사람들을 주위에 불러 모아야 한다. 역대 대통령이 국민 통합에 실패하고 결국은 실패한 정권이란 도장을 스스로 이마에 찍어야 했던 것은 주변 인물들이 정권을 전리품으로 착각하고 자기들의 구연(舊緣)을 좇아 나눠 갖는 데 골몰했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인수위에 지방분권 관련 인사를 대폭 기용하고 지방분권 정책들을 핵심 국정 과제로 채택해야 할 것이다. 오는 2월 25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출발하는 박근혜 당선인이 인사와 경제탕평으로 소외됐던 호남을 더 따뜻하게 안는,  패자(敗者)를 끌어안아 선거 과정의 극단적 분열을 치유하는 ‘대통합의 지도자’가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