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읽기-홍선기 목포대교수] 해양도시의 필요성과 가능성
상태바
[목포읽기-홍선기 목포대교수] 해양도시의 필요성과 가능성
  • 목포시민신문
  • 승인 2022.04.22 07: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선기 목포대학교 교수, (사)한국섬재단 이사장

[목포시민신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6차 평가보고서(IPCC AR6, 2021)에서는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을 통해 합의한 온실가스 감축 계획에도 불구하고, 1.5지구 가열화 도달 시점이 2015년 파리협약에서 제시된 기준에서 10년 앞당겨 2040년에 도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 범위도 2013년 보고서에서는 0.26~0.82m (1986~2005년 대비)로 나왔지만, 이번 2021년도 보고서에서는 0.28~1.01m (1995~2014년 대비) 상승할 것을 예상했다. 이처럼 기후 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으로 우리나라도 연안 도시와 섬 지역의 안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같은 지구 규모의 도전과 심각한 기후위기 상황이 우리나라에서도 예외일 수 없으며, 해수면 상승, 해수 온도 상승에 의한 해양생태계 변화와 해안의 물리적 변형으로 인하여 도서·연안 지역의 생업과 산업구조 변화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취약성(vulnerability)을 개선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점에 해양도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중소규모의 항구·수산도시를 해양도시로 전환하여 도시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 과거 수산업 기반 어촌마을이 현재는 세계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도시간 경쟁이 확대되면서 항만도시에서 해양도시로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1).

1. 항만도시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출처: OECD, 2014. The competitiveness of global port-cities)

정책수단

연안분야

주요수단

예시

해양클러스터

물류, 해운서비스,

선박건조·정비 등

공공지원체계 구축,

금융 인센티브, 창의인력육성 등

싱가포르,

홍콩

산업

산업생태계,

재생에너지

공간계획, 투자

로테르담

수변공간

관광/여가, 식품,

이벤트산업

각종 계획 사업의 종합적 이행,

항만 활용·연계 시너지 확보전략

바르셀로나

다양성

비항만부문

(non-port sectors)

엔터테인먼트, 관광, 문화,

생태복원 산업 등과 연계

런던, 리버풀,

보스턴

물론, 해양도시는 그 지역의 특성과 자연의 조건을 활용하여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많이 가는 중국 산둥성 칭다오(靑島)는 중국 정부의 해양강성(海洋强省) 전략의 하나로 국제해양도시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영국 요크셔주에 있는 헐(Hull)은 오래된 항구였지만, 도시재생을 통하여 원도심을 개발하고 다양한 박물관과 미술관의 유치를 통해, 영국의 제3의 항구도시로 변모했다. 이처럼 어항이었던 도시가 새로운 산업, 문화, 경제의 중요한 거점이 되어가고 있다. 해양도시는 바다에 거주 시설이나 공항, 항만 등을 건설하여 해양의 공간이용을 극대화하는 계획도시이며, 공간이용에 따라서 해상도시, 해저도시, 해중도시로 구분한다. 태양광의 이용과 수압 유지 등 도시의 조건 때문에 해중도시나 해저도시는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이다.

따라서 현재 가능한 것은 해상도시라고 할 수 있다. 해상도시 건설의 필수 조건으로는 물의 공급, 에너지 확보, 교통, 그리고 통신이다. 육지와 연륙된 해양도시라면 위의 조건이 해결되겠지만, 그 해양도시가 바다의 섬 도시(island city)’의 형태를 갖추려면 더욱 중요한 건설 조건이 된다. 특히 태풍이나 해일 등 미래 기후 재난에도 안전해야 한다. 2019년에 발간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신 해양도시 조성 필요성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해양도시의 경쟁력 원천은 해운·조선업, 항만산업, 수산업 등 1·2차 산업에 주로 의존하고 있고, 해양생태·환경, 해양문화·역사와 해양경제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한 해양도시전략이 미흡하다고 보고하면서 그렇게 된 원인에는 고도성장기에 해양을 육지의 대체공간으로만 인식해 해양의 가치와 발전 잠재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추진된 도시개발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해양, 도시, 항만, 수산, 산업, 관광이 서로 연계하여 도시의 발전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해양도시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해외 해양도시의 사례에서 참고할 수 있는 정책으로는 거점 도시와 주변 중소도시가 연계하여 상호 윈-윈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안으로서 항만과 어항 기능에 수산가공, 해양과학, 해양관광서비스의 신산업이 협력하여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처럼 해양도시의 건설을 위해서는 주변 지역의 특성과 자연생태 자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해양도시 건설이 관광용인지, 거주용인지, 산업용인지, 아니면 복합적인지에 대한 목적이 필요하다.

또한, 앞서 서술한 것처럼, 에너지와 식수 등의 생활 인프라 여건도 살펴야 한다. 특히 갑작스러운 기상 악화에도 견딜 수 있는 도시 기능의 적응과 대응 수준을 비롯하여 해양도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쓰레기의 해결 방안과 해양생태계 보전도 함께 해결해야 할 생태적인 문제이다. 21세기 기후위기는 해수면 상승과 기온 상승, 그리고 돌발적 기상이변으로 나타난다.

이제 항구도시인 목포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전통적인 연안 도시는 사회경제,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해양도시의 관점에서 재조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전에 기후 안전(climate security)을 평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목포와 신안군이 통합된다면, 그 통합도시의 목표에 신 해양도시의 개념을 도입해보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