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읽기-정은채 목포과학대 교수]저출산·고령화와 지방소멸의 대책은?
상태바
[목포읽기-정은채 목포과학대 교수]저출산·고령화와 지방소멸의 대책은?
  • 목포시민신문
  • 승인 2022.06.20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목포과학대학교
해양수산식품융합과/해양산업디자인인력양성사업단장
정은채 교수

[목포시민신문] 지방시대를 천명한 현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의 악순환 고리를 어떻게 끊어낼지 주목된다. 급격한 인구감소 흐름이 현실화되면서 지방소멸이 코앞에 닥쳤기 때문이다. 지방시대는 이제 거부할 수 없는 국가적·시대적 최대 과제가 되었다. 어느 지역에 살든 상관없이 우리 국민 모두 공정한 기회를 누려야 하며 지방시대는 인구절벽의 해법이기도 하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와 대학 교육의 매우 중요한 메시지임을 잊어선 안된다. 우리에게 암울한 미래는 저출산·고령화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합계 출산율은 0.81명이다. 출생아 수는 26500명으로 2020272300명보다 4.3% 줄었다. 10년 전인 2011471400명과 비교하면 21900명이나 급감했다. 합계 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현 추세로 유지될 경우 2070년 한국의 총인구는 3766만 명 수준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중 절반 이상은 고령인구(65세 이상)일 것으로 추계 된다. 다른 하나는 지방소멸이다. 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이동하면서 우리 지역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공포가 비수도권에서 대두되고 있다. 감사원이 발표한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2047년이 되면 한국 전체 인구는 4771만 명이 되며 21171510만 명까지 추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28개 전국 시··구 중 소멸 위험 지역은 2020105, 2021106곳이었다.

심지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202023곳에서 202136곳으로 13곳이나 늘었다. 저출산·고령화와 지방소멸은 얼핏 다른 이슈로 보일 수 있으나 사실은 서로 긴밀하게 얽힌 인구 문제다. 인구 문제를 타파하기 위해선 결국 두 이슈를 함께 엮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지방에선 해당 지역의 미래를 만들어낼 청년 인구가 급격하게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이 문제다.

이는 지역경제 침체로 직결돼 지방소멸 가속화를 유발하게 된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발표한 지방소멸 위기지역의 현황과 향후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수도권의 총인구는 50.24%에 달했다. 서울·경기·인천 세 곳의 총인구 합이 다른 모든 지역을 합친 인구보다 많은 것이다. 특히 40대 미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이 크게 이뤄지고 있으며 20~40세 미만의 청년인구 중에서 54.5%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또한 주요 기업 역시 수도권에 집중 분포하고 있어 청년고용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청년들이 비수도권을 떠나는 이유는 일자리 때문이다.

지방소멸의 위험을 초래하는 현상의 중심에는 청년들이 선호할 수 있는 지역 일자리가 부족하며, 저출산이 지속되는 가운데 비수도권의 청년 인구 유출 확대는 앞으로도 계속 지속될 것이다. 지역소멸위험에 대한 대응 전략에 있어 중앙과 지역 모두 위기에 대응하는 전략과 경험이 부족했으며 지역소멸 위험 지역에 대한 대안적 모델로 서비스산업과 좋은 일자리 그리고 양질의 다양한 서비스, 공동체 간 협업이 절실하다.

이제는 지방대학 시대라는 국정과제를 제시했고, 지역과 대학 간 연계·협력으로 지역인재 육성과 지역발전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 누구나 자신의 역량을 지속 개발할 수 있는 평생직업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지역이 키워낸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정주할 수 있는 교육 생태계 그리고 일자리를 창출해 지방소멸을 막는 것이다.

이에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을 시작한다. 기초지자체와 전문대 간 연계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발전역량을 높이고 지역 거점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문대가 활용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초지자체-지역산업체-전문대로 구성되는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사업은 지역경제와 지역 전문대를 살리고 나아가 지역의 평생교육의 중심으로 지방화 시대의 상생은 이미 시작되었다. 이웃 일본의 현실만 보더라도 암울하기 그지없다. 우리에게도 현실이 된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의 문제는 지금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시대적 과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