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관기관 반쪽 이전 자립 위기 ... 목포도시 기반 휘청
상태바
유관기관 반쪽 이전 자립 위기 ... 목포도시 기반 휘청
  • 류용철
  • 승인 2015.10.22 15: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남도청 남악이전 10년
▲ 전남도는 지난 2005년 전남 도청 신청사 개청식 중 1층 종합민원실 앞에서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는 전남도 지도 모형의 대형 시루떡판(5m×5m)을 자르는 `도약의 떡 절단' 행사를 가졌다.

무안 등 서남권 인구증가·경제규모 확대 긍정적 효과
외지 인구 유입 미미·주택자금 대출 급증 ‘시한폭탄’
교육 등 인프라 확충·마이스산업 육성 활성화 과제

2005년 10월 14일 오전 광주 동구 광산동 전남도청.
기자회견장에 선 박준영 전남지사는 “전남도청이 과거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 지역의 상징적 역할을 해온 것을 생각할 때 만감이 교차한다”며 “떠나는 마음도 보내는 마음도 그 만큼 아쉽고 섭섭하지만 광주와 전남은 앞으로 공동 번영의 지혜를 모아갈 것”이라고 광주 시민들에게 작별인사를 했다.

전남도는 이날 오후 6시 본관 앞에서 전남도기를 내렸다. 1993년 5월 13일 김영삼 전 대통령이 특별 담화를 통해 전남도청을 이전하고 도청 터에 5·18 기념공원을 조성한다고 발표한지 12년만에, 1896년(고종 33년) 8월 광주목 경내 목사 내아 터에 도청이 들어선 지 109년만에 광주 금남로 시대를 공식 마감한 것이다.

오는 10월이면 전남도청이 남악신도시로 이전한지 10년을 맞는다.
도청 이전 10년, 남악신도시의 현재를 점검해보고 미래를 모색해 본다.

◇ 44개 기관 이전…인구 급증
허허벌판이던 목포시 옥암동과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 일대에는 전남도청과 함께 유관기관들이 줄줄이 이전하고 아파트와 상가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신도시가 자리 잡았다.
애초 남악신도시로 이전키로 한 기관은 모두 75곳.
이중 현재 전남도교육청과 전남경찰청, 농협전남본부 등 남악지구 37곳과 광주지방법원목포지원, 검찰청,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등 옥암지구 7곳 등 모두 44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했다.

남악소방서, 한국국악협회, 음악협회, 문인협회 등 6곳은 이전을 준비중이다.
반면 당초 입주하기로 했던 농업경영인연합회, 양묘협회, 산림조합중앙회, 택시운송사업조합 등 25곳은 이전계획이 없는 상태다.

남악신도시 조성 이후 정주 인구도 크게 늘었다.
당초 계획된 남악·옥암 2개지구 인구는 5만8,656명으로, 지난 5월말 현재 계획대비 93.6%인 5만4,397명(남악 2만9,973명·옥암 2만4,424명)이 입주한 상황이다.

특히 무안군은 남악신도시 효과를 톡톡히 누려 5월말 현재 군 전체 인구가 8만1,962명에 이른다.
전남도청이 이전하기 전인 지난 2004년 6만2,472명에 비해 2만여명이 늘었고, 지난 2013년 9월에는 7만8,530명을 기록, 해남군을 앞지르며 전남 군 단위 1위에 올랐다. 무안군은 남악·옥암지구에 이은 남악신도시 마지막 대형사업인 오룡지구 개발사업이 마무리되면 인구 10만명 시대를 전망하고 있다.

오룡지구는 무안군 일로읍 망월리 일대 270만㎡에 조성되며, 전남개발공사가 지난해 4월 택지개발사업에 착수했다.  오룡지구는 2021년까지 3단계로 진행되며 8,300여가구 2만1,000여명의 입주가 예상된다.
업무·상업·문화 기능을 갖춘 남악지구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로 주거·교육·스포츠시설 등이 들어선다.

◇ 서남권 경제규모 확대
도청과 유관기관 이전 뒤 목포와 무안지역에는 국제공항, 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이 확충돼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이를 기반 목포는 2005년 2조3,000억원이던 지역내 총생산이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2011년 2조8,000억원으로 늘었고, 무안군도 같은 기간 1조원이던 총생산이 공공행정 및 교육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1조3,000억원으로 증가했다.

또 목포시와 무안군의 예금은행 여수신이 모두 늘면서 전남 서남권 금융업에서 예금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 도청과 도교육청 등 공공자금 증가에 따른 것으로, 2005~2014년 중 예금은행 수신은 3조9,000억원 늘었고, 여신도 2조7,000억원이 증가했다.

무안군의 경우 지방세 세입도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무안군의 세입은 305억원으로 10년전인 2004년 보다 192억원(170%)이 증가했다. 이는 전남 22개 시군 가운데 최고치다.

무안군의 지방세 세입이 크게 늘어난 것은 아파트와 상가의 재산세, 도청 등 공공기관이 납부한 지방소득세, 자동차세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무안군의 재산세는 지난 2004년 25억원에서 지난해에는 79억원으로 54억원(216%)이 늘었다. 지방소득세도 22억원에서 64억원으로 42억원(191%), 자동차세는 16억원에서 118억원으로 102억원(638%)이 증가했다.

 
◇ 인근 지역 공동화 심각
남악신도시 조성 10년이 지난 현재 인구 유입 현황을 보면 이주 주민의 73.9%가 목포, 무안, 영암 등 전남지역에서 유입됐다. 이중 목포시 전입자가 63.4%를 차지했다. 반면 광주에서 유입된 인구는 8.6%에 불과했다.

당초 취지와는 달리 광주에 사는 전남도 공무원들의 이주를 통해 형성된 도시가 아닌 목포·무안 등 인근 지역의 공동화 현상으로 형성된 신도시인 셈이다. 자연스레 목포 원도심의 활력이 저하되고, 무안군도 도·농간 개발 불균형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실제 용당1·2동, 연동, 산정동, 연산동 등 목포 원도심 인구는 지난 2004년 12만명에서 지난해말 9만여명으로 3만명 가량이 감소했다.
인구 감소에 따라 원도심에 소재한 초등학교와 학급, 학생수도 큰 폭으로 줄어 2005년 이후 10년간 목포 원도심 3개 초등학교가 휴·폐교됐다. 학급수와 학생수도 각각 118개, 4,938명 감소했다.

◇ 행정구역 분리…생활불편 여전
광주 등 타 지역에서 남악신도시로의 이주를 꺼리는 주된 원인은 여전히 취약한 주거환경에 기인한다. 가장 큰 불편은 열악한 교육환경과 편의시설이다.
현재 남악신도시에는 유치원 3개, 초등학교 5개, 중학교 3개, 고등학교 1개 등 12개 학교가 개교, 8,300여명의 학생이 재학중이다.

하지만 학교수가 턱없이 부족, 중학교 31.4명, 고등학교 32.4명 등 학급당 학생수가 30명을 초과하는 등 과밀학급 우려가 큰 상황이다.
특히 고등학교 등 상급학교 진학시 상당수 남악신도시 학생이 목포 원도심 또는 무안 읍지역 등 원거리 학교로 배정돼 통학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여기에 음식점, 병원, 대형마트, 주유소 등 도시민들에게 필수적인 생활편의시설도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목욕탕만 보더라도 최근에서야 2곳에 건축허가 신청이 들어왔을 정도다. 분리된 행정구역에 따른 갈등도 신도시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당장 무안군으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은 남악신도시 내 대형 쇼핑몰 입점을 두고 지역상권 몰락을 우려한 목포지역의 반발이 거세다.
대중교통망 조정을 놓고서도 목포시와 무안군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지난 2008년 목포·무안 택시요금 단일화 합의가 시행됐지만, 사업구역 단일화 협상은 목포지역 택시노조 반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광역도시인 광주에 버금가는 비싼 땅값과 물가도 도시 활성화의 저해요인이다.
실제 아파트의 평당 가격이 1,000만원대에 달해 30평대의 경우 3억원을 호가한다. 광주의 신규 아파트 값과 큰 차이가 나질 않는다.

상가 임대료 등이 비싸다 보니 상당수의 신축 상가 건물들이 텅텅 비어 공실률이 심각하고, 낮 시간대 유동인구도 적어 자영업자들의 경제상황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급증한 주택자금 대출도 시한폭탄이다.
지난해 말 전남 서남권 예금은행의 주택자금 대출은 5,234억원으로 2004년말 1,920억원에 비해 약 2.7배 증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증가율(60조원→110조원)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 관광활성화 등 대안 시급
전남도청의 남악신도시 이전은 인구증가, 경제규모 확대 등 서남권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으나, 미약한 외지인구 유입, 성장 모멘텀 저하, 목포 원도심 공동화 등 각종 문제들도 양산되고 있다.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되면서 인구증가가 정체되고, 기업 유치 부진 등으로 경제 활력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도청 이전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우선 목포와 전남 서남권을 연계한 광역교통망 구축, 중가의 숙박시설 신설, 볼거리·먹거리·즐길거리 등을 개발해 관광산업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KTX 개통 등 향상된 접근성을 활용, 각종 회의행사, 세미나 등을 개최하는 마이스(MICE)산업을 육성하고, 장기적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소재 해외기관들의 국제 행사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크다.

남악·옥암지구에 이은 오룡지구 개발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여론도 고개를 들고 있다.
남악·옥암지구에 계획인구 대비 93%가 입주했고,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된 상황에서 추가로 택지개발을 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이다.

한국은행 목포본부 박지섭 과장은 “도청 이전 초창기에는 인구가 늘어나고 공공행정 분야 확대에 따른 지역경제 순기능이 활성화됐지만 공공기관 이주 완료, 세계 금융위기 등의 영향으로 2009년 이후 인구 및 고용 증가추세가 둔화되고 경제 활력이 저하됐다”며 “도청 이전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관광인프라 확충을 통한 관광산업 활성화, 원도심 활성화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 교육시설 확충 등 남악신도시 생활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